#작은도서관 #무슨책읽어?

작은도서관에서는 무슨 책을 읽을까?

#작은도서관 #무슨책읽어? 2월 [도전 2024]

도전 2024


묵혀 먹는 맛, 골마지가 낀 책


(사)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작은도서관이 아름답다 기금 시즌3 PM 박미숙



‘이만큼 샀는데 10만9천8백만 원이라고요?’ 

입 밖으로 꺼내지 못했지만, 마트점원을 향해 눈으로 말을 한다. 귀차니즘의 선봉장인 내가 영수증을 흝는다. 맞다. 10만 9천8백 원. 하긴, 호박 하나에 3천8백 원이니 더 말할 것도 없다. 주섬주섬 사 온 물건들을 냉장고에 채워 넣다가 문득 언제부턴가 거기 있었던 거 같은데 꺼낸 기억은 없는 통을 하나 발견. 꺼냈다. 

‘섞박지다! 아닌가? 무가 좀 큰 거 같기도 하고...’ 

이름은 중요치 않다. 이걸 들기름에 달달 볶으면 며칠 반찬은 해결이다. 다음에 장 보러 갈 일이 아득했는데 정말 신난다. 그런데 이게 웬일. 곰팡이 같은 게 하얗게 핀 녀석들이 눈에 띈다. 인터넷 검색 찬스! 골마지란다. 효모가 만들어 낸 것으로 오래 묵은 김치들에는 흔히 발견되는 것들이라고. 몸에 해가 되는 게 아니니 걷어내고 먹으면 된다고. 하긴, 이 통이 언제부터 있었는지 기억이 안 나는 걸 오래 묵긴 했나 보다.   

 

글을 써달라는 이야기를 듣고 책꽂이를 휭 둘러본다. 책 윗면에 먼지가 뽀얗게 쌓인 책들이 보인다. 꺼내서 척척 쌓으니 열 권이 넘는다. 무리다. 내가 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은 노력을 안 해서가 아니라 목표를 너무 높게 잡기 때문이라는 걸 안다. 다시 일곱 권을 책꽂이에 꽂아 넣는다. 세 권 정도는 목표치로 삼아도 되겠지.    

 


하루교양공부」 (전성원 지음. 유유) ‘나와-세계를-잇는-지적-생활-습관’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무려 만천백일 페이지에 달하는 벽돌책이다. 이 책은 사실 책꽂이에서 찾은 책이 아니라 늘 내 머리맡에 있던 책이다. 역시 표지에 먼지가 뽀얗게 쌓인 채로. ‘이렇게 두꺼운 걸 어떻게 읽어?’ 생각하겠지만 이 책은 하루에 두 페이지, 많게는 세 페이지씩 읽어나가는 책이다. 책은 1년 365일 그날그날에 있던 역사적 사건이나 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거리를 말하고 있다. 작년에 이 책을 사들고 일주일을 넘게 아침에 5분씩 책장을 넘겠다. 딱 그날 치 분량만 읽으니 루틴도 생기는 것 같았다. 몰랐던 이야기도 알게 되고 사유도 깊어졌다. 그런데, 결국은 읽기에 실패했다. 욕심을 부렸던 것이다. 이 책도 읽고 다른 책도 읽어서 아침마다 30분씩 책을 읽겠다고 다짐한 게 화근이다. 글을 써달라는 딱 오늘부터 다시 펴 들었다. 내년 1월 31일까지. 아침엔 딱 이 책만 읽어야지.    

  



토지」 (박경리 지음. 다산책방) 20권짜리 대하소설. 책 제목은 전 국민이 다 알지만, 다 읽은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책. 사실, 이 책도 묵혀둔 책은 아니다. 일산도서관에서 일할 시절 ‘토지읽자’라는 동아리를 만들었다. ‘박경리 「토지」를 완독 할 결심을 하지만 늘 실패하는 사람들 모여라’ 했더니 아홉 명이 모였다. 금요일마다 온라인으로 모여 두 시간씩 윤독하였다. 처음에는 읽고 감상을 나누자는 생각도 있었지만, 이 책은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되었다. 그렇게 읽어온 지 2년 5개월째. 드디어 마지막 권수인 20권을 폈다. 이제 한 달 반 남짓이면 토지를 완독 하는 셈이다. 이 책을 굳이 소개하는 이유는 책 보다 읽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서이다. 책을 혼자 읽을 필요는 없다. 올해, 「토지」를 완독 하고 싶은 사람들을 한 번 모아보는 것은 어떨까? 읽어오기 말고 함께 읽기면 가능하다. 온라인 모임도 추천한다. 여행 가는 차 안에서 듣기만 해도 되고, 내가 낭독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집에서 빨래를 개면서 듣기도 한다. 빠지는 날만큼만 읽어오면 언제라도 함께 할 수 있으니 부담도 적다.      




현대사회이론의 모든 것」 (앤서니 엘리엇 지음, 김봉석•박치현 옮김. 앨피) 마르크스, 베버, 프로이트. 그에 앞선 칸트, 데카르트. 내 철학적 사고는 여기가 끝이다. 사실 그냥 아는 철학자 이름을 나열한 것이지 이들이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. 고등학교 때 윤리시간에 외운 이름들일뿐이다. 하지만, 이후로 수많은 철학적 논쟁들이 이어졌다고 알고 있지만, 역시 몇 명의 이름만 기억할 뿐이다. 아도르노, 마르쿠제, 소쉬르, 푸코, 라캉, 하버마스, 들뢰즈 등등. 인문학이나 문화사회학 관련 강의를 들을 때 이들의 주장이 거론되면 ‘아하, 그렇구나.’ 생각하지만, 이렇게 들은 것은 이틀이 지나면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. 올해 가장 크게 마음먹은 것은 현대철학을 알아가 보는 것이다. 일단 수박의 겉이라도 핥아 보려고 한다. 이 책을 읽고 나면, 이 눔의 세상이 왜 이 모양인지,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 하는지 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을까?   

 

 


자화상 그리는 여자들」 (프랜시스 보르젤로 지음, 주은정 옮김. 아트북스) 책은 가끔 내용과 상관없이 선물하거나 권해주는 이 덕분에 더 끌리기도 한다. 이 책이 딱 그렇다. ‘그림책을 좀 더 깊이 있게 보고 싶다.’는 말에 어느 작가가 자기 책꽂이에서 뽑아 준 책이다. 눈을 반짝이며 얼른 읽어보겠노라 의지를 다졌으나 아직까지 펼치지 못하고 있었다. 그게 벌써 언제 적 일인가. 올해는 읽을 거다. 우리나라 미술사는 물론 서양미술사에도 여성예술가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. 작품의 대상이 되기는 하지만 주체가 되지 못했기 때문이겠지. 허락되지 않은 그 틈에서 자기 그림을 그려온 여성 화가들, 그들이 그린 자화상이 던져주는 담론은 어떤 것들일까? 올해는 차근차근 읽어내 보리라.    

 



마지막으로 남긴 세 번째 책은 「김수영 전집 1」 (김수영 지음, 이영준 엮음. 민음사)이다. ‘사놓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지.’라는 마음으로 한 번도 안 꺼내본 책.  「김수영 전집 2」도 있지만, 올해는 「김수영 전집 1」만 읽어보려 한다. 김수영 시 뿐 아니라 올해는 시집을 좀 읽기로 한다. 새로 나온 시집도 몇 권은 사야지. 그나마 ‘시집’이 나올 수 있던 힘이 되었던 ‘문학나눔’을 비롯하여 문학과 독서 관련 수많은 예산이 없어지거나 축소되는 올해, 나 혼자 시집을 사는 게 어떤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라도 시가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. ‘시가 죽은 나라는 예술도 죽은 나라’다. 어쩌면 지금보다 훨씬 엄혹한 시대를 살았던 김수영은 어떻게 긴 시간을 지나왔을까? 그의 시에서 위로를 얻어 보고자 한다.   

   

무김치(섞박지는 아닌 것 같으니 이렇게 불러본다.)에 낀 골마지를 닦아내고 된장과 들기름을 넣고 볶았더니 오래 묵어야 나는 그 맛이 난다. 밥 두 그릇을 뚝딱 먹었다. 일부러 그런 건 아니지만, 이 맛을 내려고 그동안 그렇게 냉장고 안에서 견디어 왔는가 싶다. 내 책꽂이 책들도 그러할 것 같다. 드디어 읽어줄 올해를 기다리며 그렇게 발효되고 골마지가 끼어왔을 수도. 이제 묵은 골마지를 털어냈으니 이제 맛있게 읽을 차례다. 

군침 한 번 꼴깍 삼킨다. 자, 어느 책부터 읽어줄까? 




#작은도서관 #무슨책읽어?의 지부별 책 목록은 첨부파일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으며,

(사)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네이버 포스트에서 지부별 #작은도서관 #무슨책읽어?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!

2월 도전 2024 : https://m.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aver?volumeNo=37391711&memberNo=48951781

2월 지금 읽고 있는 책 : https://m.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aver?volumeNo=37391710&memberNo=48951781

첨부파일

2023년_2월__작은도서관__무슨책읽어__-_2월__무슨책읽어_.pdf

다운로드